* {석사학위 + 박사수료} *
박경제
2000 한국외대 환경학과 MS [학위논문 : 제한환경 하에서의 발광성 및 병원성 미생물의 생리·생태적 반응양식의 연구]
2000~2005 한국외대 환경학과 박사과정 수료
[논문 발표] Lee, H.-J., K.-J. Park et al. 2003. Regulation of fur expression by RpoS and Fur in Vibrio vulnificus. Journal of Bacteriology. 185(19):5891-5896.; Park, K.-J. et al. 2004.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poS in a pathogenic bacterium, Vibrio vulnificus: Role of σS in survival of exponential-phase cells under oxidative stress. Journal of Bacteriology. 186(11):3304-3312.; Park, K.-J. et al. 2004. Functional complementation of Escherichia coli by the rpoS gene of the foodborne pathogenic Vibrio vulnificus.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. 14:1063-1066.; Cho, J.-C., K.-J. Park et al. 2004. A novel continuous toxicity test system using a luminously modified freshwater bacterium.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. 20:338-344.
[특허 발표] Park, K.-J. et al. 2001. Bioluminescent organism for detecting toxic substances. US Patent. No. 09/791479
노종복
2004 한국외대 환경학과 MS [학위논문 : 정족수 인식기작 조절자에 의한 다양한 세포외 단백질 분해효소의 발현조절에 대한 연구]
2004~2006 한국외대 환경학과 박사과정 수료
[논문 발표] Lee, J.-H., J. B. Rho et al. 2004. Role of flagellum and motility in pathogenesis of Vibrio vulnificus. Infection and Immunity. 72(8):4905-4910.; Roh, J.-B. et al. 2006. Transcriptional regulatory cascade for elastase production in Vibrio vulnificus: LuxO activates luxT expression and LuxT represses smcR expression.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. 281(46):34775-34784.
한양수
2004 한국외대 환경학과 MS [학위논문 : 패혈증 비브리오 균이 생성하는 막 지질단백질의 숙주 부착 및 생물막 형성능력에 관한 기능과 지질단백질을 코딩하는 lpp 유전자 발현의 특성 조사]
2004~2008 한국외대 환경학과 박사과정 수료
[논문 발표] Goo, S Y., Y. S. Han et al. 2007. Vibrio vulnificus IlpA-induced cytokine production is mediated by Toll-like receptor 2.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. 282(38):27647-27658.; Lee, K.-J., N. Y. Lee, Y.-S. Han et al. 2010.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e IlpA protein of Vibrio vulnificus as an adhesin and its role in bacterial pathogenesis. Infection and Immunity. 78(6):2408-2417.
[특허 발표] 한양수 외 (2004) 비브리오 불니피쿠스의 살균 조성물, 및 그 사용방법. 0438592.
* {석사학위} *
신경숙
1998 한국외대 미생물학과 MS [학위논문 : 병원성 Vibrio vulnificus의 환경억제 조건에 대한 반응양식 및 이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특성의 조사]
임혁순
2001 한국외대 환경학과 MS [학위논문 : Ecological characterization of survival of Vibrio vulnificus cells,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stress-survival regulator, cAMP-phosphodiesterase]
김성민
2003 한국외대 환경학과 MS [학위논문 : 생존 관여 유전자 규명 및 특수환경 내 미생물 군집 특성 조사]
[논문 발표] Kim, H.-S., S.-M. Kim, H.-J. Lee, S.-J. Park, and K.-H. Lee. 2009. Expression of the cpdA gene encoding a 3’,5’-cyclic AMP (cAMP) phosphodiesterase is positively regulated by cAMP-CRP complex. Journal of Bacteriology. 191(3):922-930
[특허 발표] 김성민 외 (2006) 콜레라세균, 비브리오장염세균 및 비브리오패혈증세균의 특이적 탐지 방법. 10-0659157.; 김성민 외 (2007) T-RF 염기서열 분석 방법. 10-0730654.; 김성민 외 (2011) 마이크로코커스 알카노보라 SL-010 균주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.
경기도 지역연구센터 (GRRC) 바이오산업용 단백질 연구센터 (한국외대)
임재규
2004 한국외대 환경학과 MS [학위논문 : 패혈증 비브리오 균주에서 합성되는 정족수 인식 신호물질의 탐지와 그 역할에 관한 연구]
[논문 발표] Park, K.-J., M.-J. Kang, S. H. Kim, H.-J. Lee, J.-K. Lim, S. H. Choi, S.-J. Park, and K.-H. Lee. 2004.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poS in a pathogenic bacterium, Vibrio vulnificus: Role of σS in survival of exponential-phase cells under oxidative stress. Journal of Bacteriology. 186(11):3304-3312
UST 해양생명공학전공 PhD
한국해양연구원 Post-Doc
현,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명공학연구센터 (책임연구원)
조요나
2004 한국외대 환경학과 MS [학위논문 : Regulation of exoproteases by a quorum-sensing signal compound and a novel regulator in pathogenic bacterium, Vibrio vulnificus]
한국해양연구원
[논문 발표] Roh, J.-B., M.-A. Lee, H.-J. Lee, S.-M. Kim, Y. Cho, Y.-J. Kim, Y.-J. Seok, S.-J. Park, and K.-H. Lee. 2006.Transcriptional regulatory cascade for elastase production in Vibrio vulnificus: LuxO activates luxT expression and LuxT represses smcR expression.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. 281(46):34775-34784.
김한신
2010 한국외대 환경학과 MS [학위논문 : 세균의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한 유영 운동성 및 생물막형성의 조절]
[논문 발표] Jung, Y.-C., M.-A. Lee, H.-S. Kim, and K.-H. Lee. 2021. Role of DegQ in differential stability of flagellin subunits in Vibrio vulnificus. npj Biofilms and Microbiomes. 7:32
고려대학교 공과대학 PhD
Dept. Microbiol., Michigan State Univ. Post-Doc
현, 전북대학교 생명공학부 (조교수)